심리학의 역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심리학의 역사는 언제부터 비롯됐을까?
심리학의 역사는 의외로 이집트, 인도, 페르시아, 중국, 그리스의 고대 문명에서부터 그 흔적들이 발견됩니다. 고대 이집트에서 생각하는 작용의 장애와 우울증에 대해서 에버스 파피루스에 언급이 되어있을 뿐만 아니라 그리스 철학자와 역사가들, 대표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 탈레스, 플라톤은 인간의 마음 작용에 대해 자주 논했습니다.
히포크라테스는 그리스의 의사로서 4세기경에 정신장애는 육체에서 비롯된다는 이론을 정립했습니다. 기원전 387년에 플라톤은 정신적 작용은 바로 뇌 속에서 발생하는 작용이라고 주장했으며 아리스토텔레스는 심장에서 비롯된다고 밝혔습니다.
아시아의 심리학
아시아의 심리학은 어떻게 발현되었을까? 대표적으로 중국에서 유명한 노자와 공자는 그들의 철학 저서에는 심리학적 이해에 대한 내용을 엿볼 수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불교의 교리로부터 심리학이 점점 발전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불교에서는 내면을 잘 다스리는 수련을 하기 때문에 심리학이 발전한 것으로 볼 수 있고 내면의 성찰, 사고와 행동의 통찰과 내면의 집중을 통해 물질적인 육체와 정신적인 내면의 분리를 이루려고 합니다. 그뿐만 아니라 육체와 정신은 상호 작용하며 하나의 우주를 이룬다고 불교에서는 말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철학은 마음을 정화할 것을 강조하는데 이는 인간의 덕과 권력을 쌓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중국의 의학 고문서인 황제내경에는 지혜는 뇌에서 나오며 인경 이론은 음양 균형을 토대로 설명했으며 생리학적인 관점에서 정신장애를 진단합니다. 당나라의 시인이었던 왕창령은 뇌가 신경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으며 사람의 꿈과 불면증의 이유를 찾아 설명하려고 했으며 뇌에서 발생하는 정신질환에 큰 관심을 가졌습니다.
인도의 심리학
인도의 심리학은 언제부터 발현됐을까? 심리학의 역사는 중국에서 그치지 않습니다. 인도에 있어 철학은 힌두교에 지대한 영감을 받아 인간의 다양한 의식에 대한 연구가 있었습니다. 힌두교의 기초를 이룬 우파니샤드나 핵심 이론은 일시적인 인간의 자아와 영원히 변하지 않는 영혼 사이를 구별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구분은 힌두교와 교리나 불교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긴 했지만, 모든 종교의 공통점은 바로 정신과 인식 수준의 향상에 도달하는 것이며 이를 매우 중요시습니다. 따라서 요가가 대표적으로 정신과 육체의 향상을 위해 다양한 기술이 접목됩니다. 미국 철학자 헬레나 브라바츠키가 인도의 이러한 목적에 영감을 받아 신지학 협회를 창립하고 견신론 운동을 일으켰습니다.
인도의 심리학을 알아보았죠. 이제는 유럽의 심리학입니다. 유럽의 심리학은 사상가들로부터 시작됩니다. 심리학은 유럽의 계몽 사상가들에게 신선함으로 다가왔으며 인간의 마음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관심을 가졌습니다. 독일 철학자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인간의 생각은 연속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의식과 무의식에 있어 큰 차이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임마누엘 칸트는 독일의 철학자로서 1724년 쾨니히스베르크에서 태어나 독일 관념 철학의 근간을 세웠습니다. 심리학을 세분화함으로써 인간의 감성, 지성, 이성으로 정신을 구분했습니다. 영국에서 심리학이 발전한 이유는 사회적 문제도 심리학에 범주에 넣었기 때문입니다. 알코올 중독자, 가해자, 국가적으로 위해를 일으키는 사람들 등등 많은 문제를 심리학의 영역에서 연구했습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지 심리학에서 본 멀티태스킹 (0) | 2023.06.12 |
---|---|
심리학 용어: 인지적 구두쇠 (0) | 2023.06.11 |
심리학과 불안의 관계 (0) | 2023.06.10 |
심리학의 종류 (1) | 2023.06.10 |
심리학에 대해 (0) | 2023.06.01 |